제약 · 바이오
산업
산업의 이해
제약 · 바이오 산업의 특징 |
---|
일반 제약 생산은 반제품을 기준으로 제조하고 제품 단위로 포장하여 생산하는 구조 형태 |
생산 형태는 크게 자체생산과 외주생산으로 구분하여 처리 (이 경우 위탁과 수탁의 방식으로 관리)
|
품질과 생산의 동기화
|
전문의약품은 의약품일련번호 체계로 관리하여 출고 됨
|
제약 · 바이오 산업의 향후 패러다임 |
---|
제약, 바이오, 화장품, 식품 분야에서 일부 유사한 사업내용이 있음
|
구조적 성장 가능성 – 연구개발
|
글로벌 생산 체계 구축
|
제약 · 바이오 산업 이슈 & 해결 사례
영업활동 관리
- 고객(잠재고객/거래고객)에 대한 마케팅정보, 영업활동 일정 및 활동이력 관리

Mobile/Web으로 현장에서 업무처리
- 주문등록 시 자동 체크로직을 적용하여, 조건에 따른 자동확정 또는 별도의 승인 프로세스로 진행

거래처 평가 정보 연동
- 국세청/NICE평가정보에서 제공하는 휴폐업정보,신용정보를 연계하여 채권 리스크 관리

처방실적 관리
- 간납처에서 처방실적 데이터를 입력하여 영업실적 분석 진행

제품설명회, 학술대회지원등 경제적이익에 대한 지출보고를 통해 제약산업 컴플라이언스 대응

제품 이력 추적관리
- 출고 Lot No를 토대로 생산이력 → 원료투입 → 구매입고 전과정의 Lot추적

공급보고서
- ERP와 의악품일련번호관리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출고 일련번호 및 공급내역 전송

타 시스템 연동
- 제조 및 포장 계획 후 MES/LIMS 연동을 통해 생산/품질 처리 후 실적을 ERP에 전송
